왜 사람들은 이상한 것을 믿는가
과학으로 많은 생활의 편리를 매일 누리면서도 과학을 어려워하는 것을 넘어 적대시하는 것을 종종 본다. 이해하기도 쉽지 않을 뿐더러 이제껏 알던 것들을 부수는 과학의 혁신성에 대한 반발 심리도 있다고 생각한다. 폐해를 거론하는 것도 적절하지 않다. 그것은 과학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가 운용하는 방식의 문제다. 과학은 인간에게서 나왔고 인간을 위한 삶의 방법이다. 과학의 대중화에 앞장섰던 故 칼 세이건(1934~1996)의 뜻은 마이클 셔머에게도 이어졌다.“10년 전 칼 세이건의 강의 “회의주의가 짊어진 부담”은, 지적으로나 학문적으로나 방황에 빠져 있던 내게 이정표가 되어 주었다. 회의주의 학회, 〈스켑틱〉, 이 책이 나오게 된 것은 결국 칼 세이건이 불어넣어 준 영감 덕분이며, 회의주의와 과학의 가능성들에..
카테고리 없음
2024. 2. 2. 15:08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해방의 비극
- 갓 월드(GOD WORLD) 02권 (완결)
- The Doghouse
- 경계의 린네 24
- 사막으로 난 길
- 엄마 꿈 속에서
- [고화질] 열혈강호 37
- 아이디어 블록 + 크리에이티브 블록 세트
- 28년 만의 약속
- 나의 목소리를 들어라! 1
- 여자끼리니까 2
- 모바일 여행 가이드북
- 약이 되는 밥상 1
- 옥스퍼드 중국사 수업
- 보고 시픈 당신에게
- 게임하듯 승리하라
- 아름다운 부자 이야기
- 박물관이 들려주는 경제이야기
- 포트레이트 인 재즈
- 기독교의 발흥
- 커다란 순무
- 국경 없는 과학기술자들
- [합본] 사랑은 진품명품 (외전증보판) (전2권/완결)
- 근대일본의 국제질서론
- 어떤 날 8
- 플레이펜 어린이 책 일러스트레이션의 새로운 세계
- 주나라와 조선
- THE ART OF 미녀와 야수
- Disney Fun to Read Set 3-01 : A Fairy Tale
- 내 꿈은 야구왕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