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퇴계 이황

caje 2024. 1. 28. 17:50


퇴계와 그의 사상에 대한 연구의 자취는 아래와 같이 집약된다. 우선 광복 이전에는 퇴계가 한국이 낳은 사상가로서 뛰어난 인물이고 그의 사상 또한 높은 경지에 이른 것임을 역설하여, 일제의 억압 밑에서 민족의 자긍심을 심는 데에 일조를 하였다. 그렇지만 그 연구 수준은 지성인의 교양 수준을 벗어나지 못한 것이었다. 당시에는 한두 학자의 연구물을 제외하고는 연구다운 연구가 없었다.
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사상가 10人을 선정하여 만들어낸 시리즈로 원효, 의천, 지눌, 퇴계 이황, 남명 조식, 율곡 이이, 하곡 정제두, 다산 정약용, 혜강 최한기, 수운 최제우를 다루고있으며, 이 책은 그 가운데에서도 퇴계 이황 에 관한 글을 모아놓았다. 사상가들의 사상적 면모를 보여 줄 수 있는 대표적 논문들을 주제별로 선별한 후 그 동안의 연구사에 대한 해제와 연구물 총목록을 정리하여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1. 해제: 퇴계 사상에 대한 연구 자취 ― 윤사순(고려대학교 명예교수)

2. 인간 퇴계와 그 학맥
퇴계의 생애와 그 인간 ― 이상은(전 고려대학교 교수)
퇴계학의 계보적 연구 ― 이가원(전 퇴계학연구원 원장)

3. 퇴계 사상의 기본 구조
퇴계의 자연관 ― 윤사순
퇴계의 인간관 ― 이완재(영남대학교 명예교수)
퇴계의 학문관 ― 안병주(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퇴계의 사회 사상 ― 김기현(전북대학교 교수)
퇴계 이황의 예학 사상 ― 배상현(동국대학교 명예교수)

4. 퇴계 사상의 심층 연구
사칠논변과 대설·인설의 의의 ― 이상은
존재와 당위에 관한 퇴계의 일치시 ― 윤사순
퇴계 이황의 심경부주 연구와 그의 심학의 특징 ― 신귀현(영남대학교 명예교수)
「경재잠도」와 퇴계의 거경수양론 ― 금장태(서울대학교 교수)
자성록 을 통해 본 퇴계의 위학방법론 ― 신귀현

5. 부록: 퇴계 관련 연구물 목록